은행의 사회소외계층 전용 고금리 적금상품 판매현황
국민 등 8개 은행이 저소득 취약계층(기초생활수급자, 소년소녀가장 등)에 대한 고금리 적금상품을 판매중(총 2.9만좌, 301.5억원)
-
비과세혜택은 없으나, 1년 만기 상품임에도 재형저축보다 기본금리가 높고, 우대금리를 만기해지 조건으로 제공하는 점에서 저소득계층에 도움(만기해지시 5.5%~7.5%)
최근 일부 은행이 사회소외계층 대상 고금리 적금의 상품성을 개선
-
취약계층 지원이라는 상품취지를 감안하여, 출시 당시보다 시장금리가 많이 하락하였음에도 기본금리 인상(0.5%p)
-
재형저축에 가입할 수 없는 사회소외계층을 배려하기 위해 가입자격 확대 및 납입한도 증액(월 30만원→50만원)
* 기존의 기초생활수급자, 소년소녀가장, 북한이탈주민, 결혼이민여성 이외에도 근로장려금수급자, 한부모가족지원 보호대상자 등을 추가
원문 기사제공 - 인터넥벼룩시장 http://www.findall.co.kr/boardplus/boardView.asp?Serial=56175&code=1010
Δ KB국민은행 ‘KB국민행복적금’ = 2011년 11월에 출시한 ‘KB국민행복만들기적금’의 가입 대상과 월 납입 한도를 확대해 새로 출시한 상품이다. 가입 대상은 기초생활수급자(소년소녀가장 포함)·북한이탈주민·결혼이민여성·한부모가족 지원 대상자·근로장려금수급자다. 월 최고 50만원 범위 내에서 정액적립식 또는 자유적립식으로 선택해서 가입할 수 있다. 가입 기간은 1년이며, 증빙 서류 제출 후 1인 1계좌만 개설 가능하다. 금리는 기본 이율 연 4.5%에 정액적립식은 연 3%, 자유적립식은 연 2%의 우대 이율을 제공해 최고 연 7.5%까지 받을 수 있다. 또한 중도 해지가 많은 점을 고려해 6개월 이상 경과 후 주택 임차나 주택 구입, 출산, 입원, 입학 등의 사유로 중도 해지를 하는 경우 기본 이율을 제공한다. 1588-9999
Δ 우리은행 ‘우리희망드림적금’ = 기초생활수급자·소년소녀가장·다문화가정·북한이탈주민·연소득 1200만원 이하 근로자면 가입할 수 있는 상품이다. 월 최고 30만원 범위 내에서 정기적립식·자유적립식 중 선택할 수 있고, 가입 기간은 1년이다. 기본 이율은 연 4%, 만기 해지 시 연 3.5% 우대 금리가 있어 최고 연 7.5%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다. 가입 후 결혼·출산·입학·사망 등 특별한 사유로 중도 해지 시에는 신규 시 약정한 기본 이율을 받을 수 있다. 1599-5000
Δ IBK기업은행 ‘신서민섬김통장적금’ = 소액 예금에도 높은 금리를 주는 기업은행의 대표 상품으로, 가입 대상이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소년소녀가장·기초생활수급자·북한이탈주민·결혼이민여성에게는 최고 연 4% 나눔 우대 금리를 제공한다. 총 가입 금액의 500만원 한도까지만 나눔 우대 금리를 적용하고, 500만원 초과분은 일반 고객과 동일하게 우대 금리를 받게 된다. 현재 3년 만기 상품의 경우 기본 이율 연 2.8%에 우대 금리 연 4%가 더해져 최고 연 6.8%의 이율이다. 정액적립식으로 최고 3년까지 월 단위로 계약할 수 있다. 1566-2566
Δ KEB외환은행 ‘KEB1004나눔적금’ = 기초생활수급자·소년소녀가장·저소득한부모가정·다문화가정·북한이탈주민이 가입할 수 있는 상품으로, 매월 1만원 이상 30만원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적립할 수 있다. 계약 기간은 1년·2년·3년 중 선택할 수 있으며, 중도 해지 없이 만기 해지하는 경우 가입 기간별 기본 이율에 만기 축하 이율 연 3%를 조건 없이 제공한다. 현재 기본 이율은 1년제 연 2%, 2년제 연 2.5%, 3년제 연 3%이다. 3년 만기 상품에 가입할 경우 최고 연 6%의 이율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가입 기간별 1/2 이상이 경과한 이후에 가입자 본인 또는 가족의 주택 임차(구입), 결혼, 입학, 출산, 사망 등 각종 사건의 발생으로 중도 해지 시 가입 당시의 기본 이율을 적용하는 특별 중도 해지가 가능하다. 1544-3000
Δ 신한은행 ‘신한새희망적금’ = 저소득층의 목돈 마련을 돕고, 서민의 자립 및 재산 형성을 지원하는 3년제 적립식 상품이다. 근로소득이 연 1500만원 이하 근로자·근로장려금수급자·기초생활수급자·북한이탈주민·결혼이민자가 가입 대상이다. 기본 금리 연 4.5%에 유동성 계좌에서 본 예금으로 자동이체 등록할 경우 연 1.5%의 추가 금리가 제공돼 최고 연 6%까지 받을 수 있다. 3년 만기 상품으로 월 20만원까지만 가입 가능하다. 18개월 이후 중도 해지 시에는 연 4%를 제공한다. 1588-1773
Δ 대구은행 ‘행복동행적금’ = 기초생활수급자와 등록장애인(1~3급) 등 소외계층에게 우대 이율을 지급하는 정기적금 상품이다. 1년제 정기 적립 상품으로 기본 금리 연 4%에 기초생활수급자로 월 적립금이 10만원 이상일 경우 연 3% 금리를 우대받아 최고 연 7%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기초생활수급자가 10만원 미만으로 가입하거나 등록장애인이 가입할 경우 연 6%의 금리를 받게 된다. 가입 금액은 1만원 이상 20만원까지며 1인 1계좌로 가입할 수 있다. 중도 해지를 해도 연 4%의 기본 금리가 보장된다. 1566-5050
Δ 광주은행 ‘새희망적금’ = 6개월 이상 5년 이하 월 단위로 가입할 수 있는 적립식 상품으로 누구나 가입할 수 있으나 기초생활수급자·소년소녀가장·결혼이민여성·북한이탈주민은 1인 1계좌에 한해 정액적립식 가입, 계약 기간 1년 이상 3년 이내, 월 입금액 30만원 이하의 조건을 만족하면 연 4%의 우대 이율을 제공한다. 현재 1년 이상 2년 미만 정액적립식 이율은 연 3.2%, 2년 이상 3년 미만 이율은 연 3.4%, 3년제는 연 3.6%다. 3년 상품 가입 시 만기 해지하면 최고 연 7.6%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1588-3388
'돈되는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정금리 재형저축 - 신재형저축 출시 (7.29) (0) | 2013.07.25 |
---|---|
주택 설계부실, 재료불량, 시공부실 해결 - 국토교통부 하자심사 분쟁조정 위원회 (0) | 2013.07.25 |
기본을 다지는 재무설계 - 믿을수 있는 장기투자파트너 (0) | 2013.07.15 |
2014년 최저임금 시간당 5,210원(7.2%인상)-월 108만8890원 (0) | 2013.07.05 |
부활의 재형저축 소득공제 추진 가능할까? (0) | 2013.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