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소스'에 해당되는 글 20건

  1. 2013.11.08 가계부를 통한 지출 점검(손 가계부, 세부항목 나누기)

 

 

가계부 관리는 손으로 쓰는 습관을 들이자

 

 

 

 

 

 

 

 

 

 

 돈관리를 배운다는 것과 다이어트를 하는 것은 비슷하다. 자신의 체질을 알아야 하고 먹는 습관을 미리 점검하고 무엇이 살을 찌우게 하는지 먼저 파악하고 운동으로 살을 뺄지 식이요법을 할지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제일 중요한 것은 한번 빠진 살을 유지하는 것이다. 요요 현상이라고 하는데 그렇게 힘들게 뼈빠지게 만들어놓았던 결과물이 모래성처럼 산산히 흩어지는 허망한 느낌을 한번 받으면 두번은 다이어트에 도전하기 힘들어진다.

 

 

 

 먼저 쉬운것 부터 진행한다면 지출 우선 순위를 정해서 줄일수 있는 항목을 만들어보는 작업이 필요하다. 나의 지출습관을 확인하는 작업까지 같이 한다면 가계부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좋다.

 

 

 

 

 

 가계부를 쓰기에 시간도 없고, 배운 적도 없어서 일단 누가 주는 것으로 시작해보자고 엑셀 가계부를 다운 받는 경우가 많다. 네이버나 다른 카페에서도 나눠주기도 한다. 물론 12월 정도 되면 우리 카페에서도 나눠 준다고 한다. 요즘은 스마트 폰에서 신용카드와 연동해서 가계부 작성을 도와준다는 이유로 어플을 많이 다운받아서 사용한다.

 

 

 

 사용하시는 분들에게 물어보라. 도움이 얼마나 되시는지? 도움이 안된다는 말이 아니라 정확히 내가 의도한 방향의 가계부를 작성하고 있는지 확인해보라는 말씀이다. 가계부를 어렸을 적부터 습관을 들이지 않았다면 더욱더 손으로 작성해서 관리하는 방법을 추천한다. 손으로 써야만 지출하는 부분에 감이 생긴다. 무엇을 줄여야 할지 정확한 판단도 내려진다.

 

  

 

 

 

지출항목을 점검하자.

 

 

 

 

손으로 쓰고 영수증은 반드시 남겨두자.

 

 

 

 기록되지 않으면 분석할 수 없고, 늘 같은 자리에서 맴돌게 된다. 가계부가 익숙해지는 2년정도의 시간 동안은 손으로 직접쓰고 영수증을 붙이는 작업을 꾸준히 해야한다.

 

 

 

 

 

1. 가계부의 형식은 단순하게 만들자.

 

 가계부를 쓰면서 세부항목을 입력하려고 하지말자. 영수증을 붙이면 세부항목은 따라온다. 그러나 하루에 얼마나 지출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총액은 기재해야 한다.

 예를 들면 마트에서 장을 보면 세부적으로 두부, 콩나무, 오렌지 등을 사겠지만, 항목은 마트라고 적고 총금액만 적으면 하루의 가계부 쓰기는 마무리 된다.

 

 

 

 

 

2. 수입을 여러가지로 분류하자.

 

 수입이라는 것이 대부분 가정에서 한달에 한번 들어오는데, 가계부에서는 자꾸 적으라고 한다. 은근 스트레스로 받아들인다. 그런데 생각을 달리하면 수입을 늘릴수 있는 부분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3. 카드지출은 할부도 단순지출로 기록하자.

 

 현금과 카드를 구분하지 못해서 가계부를 쓰면서 좌절하는 분들이 있다. 원칙이 중요한 부분인데, 구분하지 말고 오늘 구입한 것은 오늘 지출로 삼아야 한다. 3개월 할부라고 해서 3달 나눠서 지출한 것이 아니라 이번달에 모두 지출한 것으로 기록해야 한다.

 처음 적는 가계부에서는 이전 카드 지출은 부채로 잡아서 가계부를 꾸미면 오류가 생기지 않는다.

 

 

 

 

 

4. 지출 순위를 결정한다.

 

 1순위부터 끝 순위까지 본인이 우선 순위에 맞게 지출항목 들을 점검하자. 사람이 살기위해서 필요한 것이 우선해야한다. 아이의 교육비를 중요시 여기는 분들이 있는데, 수입을 만들어가는 이유가 아이의 교육이 아니다. 물론 신앙생활을 하시는 분들 중에 십일조가 우선순위에 들어가는 분들이 있는데, 삶의 철학이 종교에 기반해 있다면 당연한 순위라 생각된다. 

 

  

 

 

 

 

 

5. 한도금액을 설정하여 예산을 만들자.

 

 순위가 정해지면 항목별 예산 한도를 정해야 한다. 신용카드 발급할때 한도를 정해서 발급하듯이 처음에는 힘들지 모르지만 천천히 익숙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식비로 지출할 수 있는 금액, 통신비, 교육비등에 한달에 들어갈 금액을 설정하려고 가계부를 기록하게 되는 것이다. 이외의 사건에 대해서는 유동성이나 비정기적 고정지출항목을 참조하기 바란다. 

 

 

 

 

 

 

 

6. 한달단위 결산은 한달 단위 가계부로...

 

 꼭 한달단위가 아니더라도 상관없다. 가계부의 결산주기가 일정해야만 가계부로 이루려는 재무목표를 확정지을 수 있고, 얼마나 빨리 갈수 있는지 계산을 할 수 있다.

 

 

 

 

 

 가계부를 작성하면서 어렵거나 힘들어하는 부분은 점검을 할때 혼자서 진행한다는 것이다. 돈에 대해서 공유할수 있는 가정환경을 만드는 것도 가계부가 가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라 할 수 있다.

 

 

 

 

 

 

 

 

 

 

 

 

 

 

 

 

 

Posted by 프라이빗 뱅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