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전없는 사회> 시범사업 실시
집안 돼지저금통을 하나씩 가지고 있거나 동전만 별도로 모으는 통을 가지고 있는 분들도 많습니다. 10원 짜리 동전을 만들기 위해서 들어가는 비용이 액면가보다 비싸다고 하는데 유통은 없어 계속 새롭게 찍어내야 한다고 합니다.
한국은행이 동전 제조 비용으로 △2014년 408억원, △2015년 539억원 △2016년 작년에 537억원을 지출했습니다. 동전 제조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동전없는 사회사업을 시범적으로 사용해서 범위를 확대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물건을 사고 잔돈이 생길 경우 앱이나 교통카드 등에 적립하는 시범 사업이 20일부터 진행되었습니다. 참여하는 업체는 CU, 세븐일레븐, 위드미, 이마트, 롯데마트 등으로 2만 3천여개 매장에서 잔돈 적립이 가능합니다. 적립한 금액에 대해서는 교통카드는 제휴된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앱을 통한 신용카드는 그에 따른 가맹점에서 사용이 가능합니다. 물론 현금으로 수령할 수 있는데 절차가 좀 복잡하네요.
「동전없는 사회」 시범사업 실시 매장 및 적립수단
매 장 |
적립수단 |
비 고 |
CU (전국 11,300여개 매장) |
T-머니(한국스마트카드) |
4월20일 시행 |
캐시비(이비카드) |
||
하나머니(하나카드) |
||
신한FAN머니(신한카드) |
5월중 시행예정 |
|
세븐일레븐 (전국 8,800여개 매장) |
캐시비(이비카드) |
4월20일 시행 |
네이버페이포인트(네이버) |
||
L.Point(롯데멤버스) |
7월중 시행예정 |
|
위드미 (전국 2,000여개 매장) |
SSG머니(신세계I&C) |
4월20일 시행 |
이마트 (전국 150여개 매장) |
||
롯데마트(백화점, 슈퍼 포함) (전국 800여개 매장) |
L.Point(롯데멤버스) |
4월20일 시행 |
출처 한국은행
시범적으로 운영하면서 점차 확대할 예정이다. 방법에 있어서도 계좌로 바로 입금이 가능하도록 방식의 다변화도 필요하다. 또한 현금이 많이 오가는 재래시장이나 노점상 등에 대해서도 범위에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시사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선 사전투표율 26%넘어 1100만명 투표 (0) | 2017.05.05 |
---|---|
19대 대통령 선거 후보 지지율 (0) | 2017.05.02 |
재난배상책임보험(의무보험) 가입대상 및 내용 (0) | 2017.03.18 |
국민건강보험 본인부담액 상한제(사전급여&사후환급) (0) | 2017.03.02 |
서울시 명예시장 14명 선정 (0) | 2016.1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