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질환 현황과 이슈-질병관리본부
만성질환이란 무엇인가요?
만성 질환은 한마디로 정의하기는 쉽지 않으나 최소 3개월 이상 지속되는 병적인 상태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오형호, 오진주, 지영건, 2001).
세계보건기구는 여러 만성질환 중 질병부담이 가장 높은 심뇌혈관질환, 당뇨병, 만성호흡기질환, 암 등의 4개 질환을 주요만성질환으로 지정했습니다.
대한민국의 사망원인, 81%가 만성질환이 원인으로 나타났습니다. 질병관리본부는 제 5차 만성질환 예방관리 포럼을 개최하면서 이같은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포럼에서는 질병관리본부를 비롯해 관계자 400여명이 참석해서 국가적인 손실을 기하고 있는 만성질환에 대한 현실과 이에 따른 관리를 통한 예방을 공유하고자 했습니다.
4대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은 총 사망자의 57%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만성질환 현황과 이슈'에 따르면 주요 사망원인 10위 중 7개가 속했습니다. 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병, 만성하기도질환, 간질환, 고혈압성 질환으로 자살, 폐렴, 운수사고 등 다른 원인에 비해서 질병 관리비용을 수반하고 있습니다. 이들 만성질환 관리가 삶의 질을 높이는데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는 통계라 할 수 있습니다.
경제적인 손실로 보면 본태성 고혈압이 2조원이 넘는 금액이, 만성신장질환 1조 3,419억원, 급성기관지염 1조 1,242억원이 매년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방을 통해서 관리를 했다면 국민경제에 도움이 될 수 있었던 비용이 나간다고 생가되어 집니다.
만성질환의 원인은 흡연, 음주, 신체활동, 식습관 등의 생활습관요인들로 파악되고 있으나 이에대한 관리는 소홀한 것으로 확인되고 있습니다. 특히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비만 등은 적절히 관리하면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등의 심각한 질환으로 이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약간 호전이 되면 생활습관이 흩어져서 더욱 악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어떠한 질병이든 발생후 치료하기 보다는 미리 예방하는 것이 본인의 고통도 적게 들 뿐아니라, 추후에 소요될 비용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습니다.
금연과 절주를 기본으로 정기적인 운동을 꾸준히 하고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주기적인 검사를 통해서 본인의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집니다.
[8.21.(금).조간] 우리나라 만성질환 실태를 조명하다.hwp
'시사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블프] 블랙 프라이데이 성공할 수 있을까? (0) | 2015.09.23 |
---|---|
고혈압․당뇨병․간질환 등 만성질환자 보험 가입 (0) | 2015.09.18 |
한국경제에 미친 메르스(MERS)의 영향은? (0) | 2015.07.26 |
2015년 주택연금 가입자 증가세. (0) | 2015.07.18 |
생활시간조사 결과 (2014년) (0) | 2015.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