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나이) | 행적 | 시사 |
1876 (1) | (양 8.29; 음 7.11) 안동 김씨 金自點의 傍系 후손으로, 황해도 해주 백운방 텃골에서 아버지 金淳永과 어머니 郭樂園의 외아들로 태어남. 兒名은 昌巖. | (2월) '한일수호조규'[丙子條約, 江華條約] 조인. |
1878∼79(3∼4) | 천연두를 앓음. 어머니가 예사 부스럼 다스리듯 죽침으로 고름을 짜 얼굴에 벼슬자국이 생김. | (1879) 元山開港豫約 7개조 議定 조인. |
1880∼82(5∼7) | 5세 때 강령 三街里로 이사. 아버지 숟가락 부러뜨려 엿 사 먹는 등 개구쟁이 행동으로 부모님의 꾸중을 들음. 7세 때 해주 텃골 본향으로 다시 돌아옴. | (1881.1) 일본에 신사유람단 파견.(1882.6) 壬午軍亂. |
1883∼86(8∼11) | 아버지는 尊位에서 都尊位에 천거되었다가 3년이 못되어 면직.아버지는 불평이 많아 가끔 양반 구타(1884.4) 큰아버지 伯永 사망.(1885) 어릴 때 젖을 준 핏개댁[稷浦宅] 사망. | (1883.1) 인천항 개항.(1884.10) 甲申政變.(1886) 언더우드, 스크랜튼 등 신교육기관 설립. |
1887 (12) | 집안 어른으로부터 갓을 쓰지 못하게 된 사연을 듣고 양반이 되기 위해 공부하기로 결심. 아버지가 청수리 이 생원을 선생으로 모셔다 글방을 차려줘 공부 시작. | 아펜셀러, 정동교회 설립.언더우드, 새문안교회 설립. |
1888∼89(13∼14) | (4월) 할아버지 金萬黙 별세. 아버지가 갑자기 뇌졸중으로 전신불수, 호전되어 반신불수. 부모님은 무전여행으로 문전걸식하면서 고명한 의원을 찾아 떠돌아다님. 백범은 큰어머니 댁·장연 재종조 누이 댁 등을 전전하다. | (1889.9) 방곡령. |
1890∼91(15∼16) | (1890.4) 할아버지 대상. 그 직후 부모님과 더불어 다 시 고향으로 돌아가 서당에 다님. 서당 선생의 수준에 회의.아버지, [토지문권] 등 실용문서를 배울 것을 권함. 이와 아울러 {通鑑}, {史略} 등을 읽음. 鄭文哉에게 면비학생으로 {大學}과 漢 唐詩와 科文 등을 배움. | (1890.1) 함경도, 방곡령 철회. 안성·함창 등에서 민란.(1891) 제주도·고성에서 민란. |
1892 (17) | 壬辰年 慶科에 응시하여 낙방, 매관매직의 타락상을 보고 서당 공부 폐지. 석 달 동안 두문불출하고 {麻衣相書}로 관상 공부, 마음 좋은 사람이 되기로 결심. 그외 {地家書}·{孫武子}·{吳起子}·{六韜}·{三略} 등을 탐독. 집안 아이들을 모아 1년간 훈장. | (12월) 동학교도, 전라도 삼례역에 회집. 敎祖의 伸寃과 탄압 중지를 요구. |
1893 (18) | (정초) 포동 吳膺善을 찾아가 동학 입도, 金昌洙로 개명. 동학 입도 몇 달 후 連臂가 수천 명이 되어 '아기 접주'라는 별명을 얻음. | (2월) 동학교도, 광화문에서 3일간 伏閤上疏.(3월) 동학교도 보은 집회. |
1894 (19) | (가을) 해월 최시형에게 연비 명단 보고차 보은에 가서 접주 첩지를 받음.(9월) 황해도 15명의 접주가 회의하여 거사 결정, 백범은 '팔봉 접주'로 선봉에 서다. 해주성 공격에 실패하고 구월산 패엽사로 후퇴, 군대 훈련. 안태훈, 백범측에 밀사를 보내 상부상조하기로 밀약.(12월) 홍역을 치르는 와중에 같은 동학군 李東燁의 공격으로 대패. 몽금포로 피신. 3개월간 잠적. | (1월) 전봉준의 고부민란 발생.(2월) 김옥균 상해에서 암살됨.(3월) 백산에서 동학농민군 봉기.(5월) 전주화약.(6월) 청일전쟁. 일본군 경복궁 점령.(8월) 甲午義兵 봉기 시작됨.(9월) 동학농민군 2차봉기.(10.22∼11.12) 동학농민군 공주 우금치에서 대패. |
1895 (20) | (2월) 신천군 청계동 안태훈에게 몸을 의탁. 유학자 高能善을 만나 衛正斥邪論 전수받음.(5월) 김형진을 만나 백두산 월편 기행, 만주까지 감.(11월) 돌아오는 길에 김이언 의병의 고산리전투에 참가하나 패함. 귀향 후 고능선의 장손녀와 약혼하나, 김치경의 훼방으로 파혼. | (3월) 전봉준 처형.(윤5) 전국에 콜레라 만연. 수천 명 사망.(8월) 乙未事變.(11.15) 단발령 공포.(11.17) 建陽으로 연호 개정, 양력을 사용함(이하 양력) |
연도(나이) | 행적 | 시사 |
1896 (21) | (2월) 다시 중국으로 떠났으나, 안주에서 단발령의 정지와 삼남 의병 소식을 듣고 돌아오기로 결심. (3.9) 치하포에서 일본인 육군중위 쓰시다(土田讓亮)를 國母報讐로 살해 응징.(5월) 해주옥에 투옥. (7월) 인천감옥으로 이송. 옥중에서 장티푸스에 걸림. 자살을 기도하나 주위 사람들에 의해 살아남.(8∼9월) 세 차례 심문 받음.(10월) 인천감리서에서 사형 선고 받음.(11월) 법부에서 김창수의 교수형 건의, 고종은 판결 보류. 미결수로 감옥 생활을 시작. 감옥에서 {大學}·{世界歷史}·{世界地誌}·{泰西新史} 등으로 서양 근대문물을 접함. | (1월) 전국 각지에서 乙未義兵 일어남. (2.11) 고종, 俄館播遷. (2.18) 내부대신, 단발령 취소. (4월) {독립신문} 창간. (7월) 서재필 등 독립협회 조직. (9월) 전국의 의병 거의 해산. 유인석 부대는 서간도로 들어감. |
1897 (22) | 강화인 金周卿이 백범 구명운동을 벌이지만, 가산만 탕진하고 블라디보스토크 방면으로 잠복. | (8월) 연호를 光武로 고침. (10월) 대한제국 성립. (11월) 명성황후 국장 거행. |
1898 (23) | (3월) 탈옥. 대신 부모가 투옥. 백범은 삼남으로 도피. (늦가을) 麻谷寺에서 중이 됨, 법명은 圓宗. | (3월) 독립협회, 종로에서 만민공동회 개최. (9월) 경부철도 부설권 일본인에 허가. |
1899 (24) | (봄) 금강산으로 공부하러 간다고 마곡사를 떠남.(4월) 부모 만남.(5월) 평양 대보산 靈泉庵 방장으로 장발의 乞詩僧 생활.(9∼10월경) 還俗하여 해주 본향으로 돌아옴. 작은아버지가 농사일 권유. | (5월) 서대문-청량리간 전차 개통. (6월) 일본공사 하야시 |
1900 (25) | (2월) 金斗來로 변명하고 강화 김주경을 찾아감. 김주경을 만나지 못하고 동생 진경의 집에서 3개월 훈장. 김주경의 친구 유완무와 그의 동지들을 만남. 유완무의 권유로 이름을 龜로 고치고, 字는 蓮上, 號는 蓮下로 함. (11월) 부모를 연산으로 모시기 위하여 고향으로 돌아감. 도중 고능선 선생 찾아뵙고 논쟁, 세대가 다른 것을 느낌. (음 12.9; 양 1901.1.28) 아버지가 돌아가심. | (3월) 삼남지방 활빈당 활동 성행. (7월) 한강철교 준공. (11월) 경인철도 개통식. |
1902 (27) | (1월) 如玉과 맞선 보고 약혼. 우종서의 권유로 탈상 후 기독교 믿기로 결심. | (3월) 서울-인천간 전화 개통. |
1903 (28) | (1월) 약혼녀 여옥 병사.(2월) 부친 탈상 후 기독교에 입문. 장련읍 사직동으로 이사. 吳寅炯의 사랑에 학교 설립. 장련공립보통학교 교원이 됨. (여름) 평양 예수교 주최 사범강습소에서 崔光玉을 만남. 그의 권유로 安信浩와 약혼했으나 곧 파혼. 장련군 種桑委員으로 임명됨. | |
1904 (29) | (12월) 崔遵禮와 결혼. 최준례, 경성 敬信女學校에 입학. 장련 사직동에서 근 2년 살고, 장련 읍내로 이사. | (2월) 러일전쟁 발발. 韓日議定書 조인. 의병 재봉기. 일진회 조직. |
1905 (30) | (11월) 진남포 에버트청년회 총무 자격으로 경성 상동교회에서 열린 전국대회 참가. 전덕기·이준·이동녕·최재학 등과 함께 을사5조약 파기 청원 상소를 올리고 공개연설 등 구국운동.(12월) 신교육을 실시하기로 하고 고향에 돌아와 교육사업에 매진. | (5월) 경부철도 개통식. (11.17) 을사5조약 강제체결. (11.20) 장지연,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 발표. (11.30) 민영환 자결. 의병봉기 전국으로 확대. (12월) 손병희,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 |
연도(나이) | 행적 | 시사 |
1906 (31) | 장련에 光進학교 세움. 장련에서 신천군 문화로 이사. 鍾山의 西明義塾 교사. 일본군의 종산마을 약탈 저지. 첫딸 낳음. | (11월) 최광옥 등, 안악면학회 조직.(12월) 최익현 대마도에서 단식 순국. |
1907 (32) | (1월) 金庸濟 등의 초청으로 안악으로 이사, 楊山학교 교사. 첫딸 사망 (여름) 면학회와 양산학교의 '하기 사범강습회' 주최하여 교사 양성에 매진. 최광옥·이광수 등이 강사로 참여. | (4월) 新民會 조직. 이준·이상설, 고종황제의 밀서를 휴대하고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참석차 출국.(7월) 군대 해산, 이를 계기로 전국적인 의병운동 일어남(丁未義兵).(8월) 광무황제 퇴위, 순종 즉위. |
1908 (33) | (여름) 제 2 차 하기 사범강습회 성황리에 개최.(9월) 양산학교 중학부 개설, 중학부는 이인배·김홍량이 담당, 백범은 소학부 담당. (가을) 황해도 교육자들과 해서교육총회를 조직. 學務總監 피선. | (3월) 장인환·전명운, 일본 침략의 앞잡이 스티븐스 저격. (9월) 안창호 대성학교 설립.(12월) 동양척식회사 설립. |
1909 (34) | 해서교육총회 학무총감으로 황해도 각 군을 순회하며 환등회·강연회를 열어 계몽운동. (10월)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 사건과 연루되어 체포되었으나 한 달여 만에 불기소 처분. (12월) 양산학교 소학부와 더불어 재령 保强學校 교장 겸임. 당시 羅錫疇, 李在明 등과 만남. | (10.26) 안중근 의사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총살 응징.(12월) 일진회장 이용구, '한일합방'을 정부에 건의. 이재명, 경성 鐘峴에서 이완용을 습격. |
1910 (35) | 둘째딸 化慶 태어남. (11월) 경성 양기탁의 집에서 신민회 회의. 양기탁·이동녕·안태국·이승훈·주진수·김도희 등과 함께 서울의 都督府 설치, 만주 이민과 무관학교 창설 등을 결의.(11.20) 안악으로 돌아옴.(12월) 安明根, 양산학교로 백범을 찾아옴. | (3월) 안중근 의사, 여순감옥에서 순국.(4월) 이시영·이동녕·양기탁 등,서간도의 三源堡에 독립운동 기지 마련. 경학사와 신흥강습소 설치.(5월) 일본 육군대신 데라우치(寺內正毅) 3대 통감으로 부임. (8.29) '한일합방조약' 공포. 조선총독부 설치. (12월) 안명근, 군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됨. |
1911 (36) | (1월) 일본 헌병에게 체포되어 김홍량·도인권 등과 함께 경성으로 압송. 총감부 임시 유치장에서 혹독한 고문을 당함. 종로구치감으로 이감. 어머니가 옥바라지.(7월) 경성 지방재판소에서 징역 15년 판결, 서대문감옥으로 이감(죄수번호 56호). 감옥에서 의병·신사 등을 만남. 특히 활빈당 간부 김진사에게서 비밀결사의 요령을 들음. | (1월) 경무총감부, 안명근 검거를 계기로 황해도 일대의 민족주의자 총검거(안악 사건).(7월) 양기탁·안명근 등 안악 사건 피의자 공판(피검자 600여 명 중 122명 기소, 1심 판결에서 안명근·김구 등 105명 유죄 판결).(9월) 조선총독부, '105인 사건'·'신민회 사건' 조작. (10월) 중국, 신해혁명. |
1912 (37) | (9월) 明治 日王이 죽어 15년형이 7년으로 감형. 다시 명치의 처가 죽어 5년으로 감형. 이름 龜를 九로, 호 蓮下를 白凡으로 고침. | (6월) 105인 사건 관련자 123명에 대한 공판 개정.(7월) 일본 明治 日王 사망. 대정(大正)시대 개막. |
1914 (39) | 인천감옥 이감(죄수번호 55호). 17년 전의 감방 동료였던 文種七을 만남. 매일 쇠사슬에 묶인 채 인천항 축항공사에 강제노역. 투신 자살을 결심하나 곧 마음을 고쳐 열심히 일해 상까지 받음. | (7월) 오스트리아, 세르비아에 선전포고. 제 1 차 세계대전 발발.(8월) 일본, 독일에 선전포고.(9월) 일본의 요구로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의 한인을 국외로 추방. |
1915 (40) | 둘째딸 화경 죽음. (8월) 가출옥. 아내가 교원으로 있는 安新學校로 감. | (2월) 신민회 사건으로 복역중이던 윤치호·양기탁 등 전원 가석방. |
연도(나이) | 행적 | 시사 |
1916 (41) | 문화 궁궁농장 看檢. 셋째딸 恩慶 태어남. | (10월) 일본 육군대장 하세가와(長谷川好道) 조선총독에 임명. |
1917 (42) | (1월) 俊永 숙부 별세.(2월) 東山坪 농장의 농감이 되어 소작인들을 계몽하고 학교를 세움. 셋째딸 恩慶 죽음. | (3월) 이상설, 러시아에서 죽음.(11월) 러시아, 레닌의 소비에트 정부 수립. |
1918 (43) | (11월) 아들 仁 출생. | (11월) 독일·연합국간의 휴전협정 조인으로 제 1 차 세계대전 종결. |
1919 (44) | (3월) 3·1 운동으로 안악에서도 만세운동. 어머니, 환갑잔치를 사양(3.29) 안악에서 출발. 평양·신의주·안동을 거쳐 상해로 망명.(9월) 상해 임시정부의 警務局長이 됨. 국무총리 이동휘의 공산주의운동 권유 물리침. | (4월) 상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국내의 13도 대표 한성정부 선포.(9월) 임시정부 제 1 차 개헌. 대통령제로 개정하여 초대 내각 발표. 대통령 이승만, 국무총리 이동휘.(10월) 임시정부, 한형권 등을 모스크바에 파견하여 레닌 정부의 도움을 요청하기로 함. |
1920 (45). | (8월) 아내 최준례, 아들 인을 데리고 상해로 옴. | (10월) 청산리전투 |
1922 (47) | 어머니도 상해로 옴. (2월) 임시의정원 보궐선거에서 의원으로 선출됨.(9월) 임시정부 內務總長이 됨. 차남 신(信) 출생.(10월) 여운형·이유필 등과 韓國勞兵會를 조직하고 초대 이사장이 됨. | (3월) 의열단원 오성륜 등 상해에서 일본 육군대장 田中義一 저격 실패.(7월) 상해에서 時事策進會 조직됨. |
1923 (48) | (6월) 임시정부 내무총장 자격으로 국민대표회의 해산령 내림.(12월) 상해교민단에서 義警隊 설치, 고문에 추대됨. | (1월) 상해에서 國民代表會議 개최.(5월) 국민대표회의, 임정 문제를 둘러싸고 창조·개조 양파로 분열.(9월) 관동대지진. 일본, 유언비어를 퍼뜨려 한국인 학살. |
1924 (49) | (1월) 아내 최준례, 상해 홍구 폐병원에서 사망. 불란서 조계 숭산로 공동묘지에 매장.(6월) 내무총장으로 노동국총판을 겸임. | (1월) 중국 제묀1묀차 국공합작 성립.(4월) 이동녕, 임정 국무총리에 취임.(6월) 손문, 黃浦軍官學敎 개교 |
1925 (50) | (8.29) 나석주 의사가 옷을 저당잡혀 생일상을 차려줘 가장 영광된 생일을 보내다.(11월) 어머니 곽낙원, 차남 신을 데리고 고국으로 돌아감. | (3월) 임시정부, 이승만 탄핵안을 의결. 박은식을 임시대통령으로 선출.(7월) 박은식, 임시정부 대통령 사임.(9월) 이상룡, 임시정부 국무령에 임명됨. |
연도 | 행적 | 시사 |
1926 (51) | (12월) 국무령에 선출됨. | (5월) 안창호·양기탁 임시정부 국무령에 선출되었으나 사임. (6월) 6·10 만세운동.(7월) 홍진, 임시정부 국무령에 선출.(12월) 의열단원 나석주 의사, 동양척식회사에 폭탄을 던지고 자결. |
1927 (52) | (3월) 임시정부, 3차개헌을 통해 국무령제를 집단지도체제인 국무위원제로 개편. 국무위원에 선출됨.(8월) 임시정부 내무장이 됨. 한국유일독립당 상해 촉성회 집행위원이 됨.(9월) 장남 인, 고국으로 보냄. | (2월) 신간회 조직.(8월) 중국 南昌봉기.(12월) 광동코뮌 수립. |
1928 (53) | (3월) 『백범일지』 상권 집필 시작. 임시정부의 활동 침체로 독립운동가들이 임정을 떠나자, 백범은 미주 교포들에게 편지 보내어 자금 지원을 요청. | (5월) 일본군, 산동성 濟南에서 국민정부군과 충돌.(6월) 중국, 북벌전쟁 종결.(10월) 장개석, 국민정부 주석 취임. |
1929 (54) | (5월) 1년 2개월 만에 얻백범일지얽 상권 탈고.(8월) 상해 교민단 단장에 선출. | (11월) 광주학생운동. |
1930 (55) | (1월) 이동녕·안창호·조완구·조소앙·이시영·김두봉·안공근·박찬익·윤기섭·이유필·엄항섭·차이석·김붕준·송병조 등과 한국독립당 창당.(11월) 임시정부 재무장이 됨. | (1월) 김좌진, 암살당함.(5월) 간도 5·30 반일항쟁.(12월) 장개석, 공산당군 토벌 시작. |
1931 (56) | 일본요인 암살을 목적으로 韓人愛國團을 창단. 하와이·멕시코·쿠바 등지의 교포에게 편지로 금전적 도움을 얻어 의열투쟁 계획. | (6월) 우가키(宇垣一成) 총독 임명.(9월) 일본, 만주 침공.(11월) 모택동, 중화소비에트 임시중앙정부 수립. |
1932 (57) | (1.8) 이봉창 의사 동경에서 일왕 히로히토(裕仁) 저격의거.(4.29) 윤봉길 의사 상해 홍구공원에서 일왕 생일 경축식장에 폭탄을 던져 시라카와(白川) 대장 등을 즉사시킴. 미국인 피치 씨 집에 피신.(5월) 한인애국단원 이덕주·유진식, 조선총독 암살을 위해 국내에 파견했으나 체포됨. 한인애국단원 유상근·최흥식 등, 관동군 사령관 本庄繁를 암살하기 위하여 만주로 파견했으나 대련에서 체포됨. 상해 각 신문에 상해폭탄 의거의 주모자가 김구 본인임을 발표. 상해에서 탈출. 임시정부, 상해에서 杭州로 옮김. 군무장이 됨.(6월) 임시정부에서 사임. 가흥·해염 등으로 피신하여 광동인 長震球 또는 長震으로 행세함. | (1월) 장개석 신국민정부 수립. 일본, 상해침공(3월) 만주국 성립.(11월) 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한국혁명당·의열단·한국광복동지회 등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 조직. |
1933 (58) | (5월) 박찬익을 통해 장개석과 면담. 필담 결과 洛陽軍官學校 한인훈련반 설치에 합의하고, 92명을 입교시켜 훈련에 들어감. | (1월) 중·일 양군, 山海關에서 충돌.(3월) 일본, 국제연맹 탈퇴.(8월) 중국, 적극적인 항일을 결정. |
1934 (59) | (2월)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 洛陽分校에 한인특별반 설치. (4월) 9년 만에 가흥에서 어머니와 아들 인·신 만남. (12월) 남경에서 중앙군관학교 한인 학생을 중심으로 韓國特務隊獨立軍 조직. | (10월) 중국 공산당, 江西根據地 포기하고 대장정 시작. |
1935 (60) | (5월) 임정 해소의 부당성을 지적한 「임시의정원 諸公 경고문」 발표. 조소앙 등 임정국무위원 5명 사직. (10월) 임정의정원 의원 16인, 가흥 南湖에서 船上 비상회의.묀이동녕·김구·조완구 등을 국무위원으로 보선. (11월) 이동녕·이시영·조완구·엄항섭·안공근 등과 함께 임시정부를 옹호하기 위하여 한국국민당을 조직. | (7월) 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의열단·신한독립당·대한독립당의 통합으로 민족혁명당 결성. (9월) 조소앙 등, 민족혁명당을 탈당하고 「한국독립당재건선언」 발표. (11월) 임시정부, 항주에서 鎭江으로 옮김. |
연도 | 행적 | 시사 |
1936 (61) | (8.27) 환갑을 맞이하여 이순신의 陣中吟 [誓海魚龍動], [盟山艸木知]를 휘호로 씀. | (12월) 일제, 사상범보호관찰령 공포. 장개석, 서안에서 장학량에 의해 구금된 서안사변 발생. |
1937 (62) | (8월) 한국국민당·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한인애국단 및 미주 5개 단체를 통합하여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 결성. 중일전쟁으로 호남성 長沙로 피난하기로 하고 대가족 백여 식구는 목선으로 남경을 떠남. 백범, 안공근을 상해에 파견하여 안중근 의사 유족을 모셔오게 했으나 성사되지 못함. | (7월) 蘆溝橋 사건, 중일전쟁 발발.(9월) 중국 국민당과 공산당, 제 2 차 국공합작에 합의. (12월) 조선민족혁명당·조선민족해방동맹·조선혁명자연맹, 조선민족전선연맹 결성. 일본군, 남경 점령. 장개석, 중경 천도 선언. |
1938 (63) | (5월) 3당 합당 문제가 활발해져 楠木廳에서 회집. 백범, 이운환의 저격으로 중상, 한 달간 湘雅의원에 입원. 玄益哲은 절명.(7월) 임시정부, 장사가 위험하여 廣州로 옮김.(10월) 임시정부, 柳州로 옮김. | (1월) 일본군, 靑島 상륙.(4월) 일본, 국가총동원법 공포.(10월) 김원봉 등, 조선의용대 조직. 일본군, 한구·무창·광동 등 점령. |
1939 (64) | (4월) 어머니 곽낙원(81세), 중경에서 咽喉炎으로 작고.(5월) 임시정부, 유주에서 사천성 江으로 옮김. 김원봉과 공동명의로 [동지·동포 제군들에게 보내는 公開信]을 발표.(8월) 기강에서 7당통일회의 개최.(11월) 曺成煥을 단장으로 군사특파단을 구성하여 섬서성 서안으로 파견. | (7월) 일본, 국민징용령 공포.(8월) 독·소 불가침조약 조인.(9월) 독일의 폴란드 침공으로 제 2 차 세계대전 발발. |
1940 (65) | (5월) 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한국국민당을 통합하여 한국독립당 결성. 중앙집행위원장이 됨.(9월) 임시정부, 기강에서 중경으로 옮김. 중경 嘉陵賓館에서 광복군 창설.(10월) 임시정부, 헌법을 개정하고 주석이 됨.(11월) 西安에 한국광복군 총사령부를 설치하고 간부 30여 명을 파견. | (3월) 임시정부 전 국무총리 이동녕 사망함. 汪兆銘, 남경에 國民政府 수립.(9월) 일본·독일·이태리, 삼국동맹 결성. (11월) 일본군, 山西의 八路軍 공격. |
1941 (66) | (6월) 임시정부 주석의 자격으로 미국 대통령 루스벨트에게 임시정부 승인을 요청하는 공함을 보냄.(10월) 임시정부 승인 문제로 중국 외교총장과 회담. {백범일지} 하권 집필을 시작.(11월) 임시정부, [대한민국건국강령] 제정 발표. (12월) 임시정부, 일본에 선전포고. | (3월) 일본, 국가보안법 공포.(4월) 일·소 불가침조약 체결.(8월) 루스벨트·처칠, 대서양헌장 발표.(10월) 일본, 도조(東條) 내각 성립.(12월) 일본군의 진주만 공습으로 태평양전쟁 개전. |
1942 (67) | (3월) 임시정부, [3·1절 선언]을 발표하여 중·미·영·소에 대해 임시정부 승인을 요구.(5월) 임시정부, 조선의용대의 광복군 편입과 김원봉의 광복군 부사령관 임명.(10월) 김원봉 등 좌파, 임시의정원에 참여. | (1월) 일본 수상, 大東亞共榮圈 건설의 지도방침 표명. (7월) 김두봉·최창익·김무정 등, 연안에서 조선독립동맹 결성.(10월) 한중문화협회 결성.(12월) 조선어학회 사건. |
1943 (68) | (3월) 임시정부, 중경에서 3·1 운동 24주년 기념식 거행.(7월) 장개석 총통과 회담. 전후 한국독립 지원 요청(8월) 주석직 사임을 발표.(9월) 주석에 복직. | (9월) 이탈리아, 연합군에 항복.(10월) 일제, 조선에서 징병제 실시.(11월) 미·영·중 3거두, 카이로 회의에서 한국독립 선언. |
1944 (69) | (4월) 임시정부, 제 5 차 개헌을 단행하여 주석의 권한을 강화. 주석으로 재선됨.(9월) 장개석을 면담하고 임시정부 승인을 요구. | (7월) 아베(阿部信行), 조선총독에 임명됨.(8월) 여운형, 건국동맹 결성. |
1945 (70) | (2월) 임시정부, 독일에 선전포고.(3월) 장남 仁(28세), 부인 安美生과 딸 孝子를 남기고 세상을 떠남.(4월) 광복군의 OSS 훈련을 승인하고, 중국전구사령관 웨드마이어 중장을 방문.(7월) 한국독립당 대표대회에서 중앙집행위원장에 선출. br> (8월) 서안에 가서 미군 도노반 장군을 만나 광복군의 국내진입작전에 합의.(8.10) 섬서성 주석 祝紹周로부터 일본 항복 소식 들음. br> (8.18) 중경으로 귀환.(9월) 국내외동포에게 고함을 통해 임시정부의 당면정책 14개항 발표.(11월) 상해를 거쳐 제 1 진으로 환국.(12월) 서울운동장에서 열린 임시정부 환영회 참석.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에 반대하여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를 조직. | (1월) 일본군에 끌려간 학병 50여 명, 탈출, 중경 임시정부로 찾아옴.(2월) 탈출 학병 환영대회. 미국·소련·영국 얄타회담 개최.(4월) 임시정부, 중국과 새 군사협정을 체결.(5월) 독일, 연합군에 무조건 항복.(7월) 미·영·중 3거두, 포츠담 선언.(8.15)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제2차 세계대전 종결.(9월) 조선인민공화국 수립 선포.(10월) 이승만을 중심으로 독립촉성중앙협의회 발족. (12월) 모스크바 3상회의, 한국신탁통치 결의. 신탁통치 반대운동 전국적으로 전개됨. |
연도(나이) | 행적 | 시사 |
1946 (71) | (2월) 비상국민회의를 소집하고 의장에 선출됨. 남조선국민대표민주의원 총리에 선임됨.(4월) 한독당·국민당·신한민족당, 한독당으로 통합. 중앙집행위원장에 선출.(6월) 이봉창·윤봉길·백정기 3의사 국민장으로 효창원에 모심.(8월) 연합국 원수 및 정당 대표에게 임시정부 수립의 지원을 요망하는 메시지 발표.(10월) 좌우합작 7원칙 지지성명 발표. | (3월) 제 1 차 미소공동위원회 개최.(4월) 민전주최 미소공동위원회 환영 민주정부수립촉진 시민대회 개최.(5월) 여운형·김규식, 좌우합작운동 추진.(6월) 이승만, 정읍에서 남한 단독정부수립 발언.(10월) 좌우합작 7원칙 발표. (12월) 남조선과도입법의원 개원. |
1947 (72) | (1월) 반탁독립투쟁위원회를 조직하고 제 2 차 반탁운동 전개.(2월) 비상국민회의를 확대하여 국민의회 조직.(3월) 인재 양성을 위해 건국실천원양성소 개설. (5월) 한독당원들에게 제 2 차 미소공동위원회에 불참할 것을 성명.(10월) 한국독립당 중앙집행위원회에서 남북대표회의 의결.(11월) 한독당, 정당협의회 참가 보류. (12월) 국사원에서 {백범일지} 출간. | (5월) 제 2 차 미소공동위원회 개막.(7월) 여운형 피살.(9월) 한국문제 UN 이관.(11월) UN 총회에서 유엔 감시하 총선 가결.(12월) 장덕수 피살. 중간파 연합전선으로 민족자주연맹 결성. |
1948 (73) | (1월) UN 한국위원단에 통일정부 수립을 요구하는 6개항 의견서를 보냄.(2월) 통일정부 수립을 절규하는 [3천만 동포에게 읍고함] 발표. 김규식과 공동으로 남북회담을 제안하는 서신을 북한에 보냄.(3월) 김규식·김창숙·조소앙·조성환·조완구·홍명희와 7인 공동성명을 발표하여 남한총선거 불참 표명.(4월) 남북연석회의 참여. [공동성명서] 발표.(5월) 평양에서 서울로 귀환. (7월) 북한의 단정 수립에도 반대한다는 입장 밝힘. 통일독립촉진회 결성.(8월) 어머니 곽낙원과 부인 최준례, 맏아들 인의 천장식을 기독교회 연합장으로 거행.(9월) 이동녕·차이석 선생 천장식, 사회장으로 효창원에 모심.(11월) 미·소 양군 철퇴 후 통일정부 수립이 가능하다는 담화 발표.(1월) 유엔한국임시위원단 입국. | (2월) 단독선거를 반대하는 2·7 투쟁 전개.(4월) 제주도 4·3 사건 발생.(5월) 5·10 총선거. 제헌국회 개원.(7월)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결정. 초대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시영 피선.(8월) 대한민국정부수립 선포.(10월) 여순반란 사건. |
1949 (74) | (1월) 서울에서 조국의 통일을 위한 남북협상을 희망한다고 발언. 금호동에 백범학원을 세움.(3월) 마포구 염리동에 창암학원 세움.(6.26) 12시 36분, 경교장에서 육군소위 안두희의 흉탄에 맞아 운명.(7.5) 국민장 거행. 효창원에 안장. | (1월) 미국, 대한민국을 승인. 반민특위 발족.(6월) 국회프락치 사건. 반민특위 사무실 습격당함. |
1962(서거 13주년) | (3.1) 대한민국건국공로훈장 重章에 추서. 1969 (서거 20주년)(8.23) 남산에 동상을 세움. |
|
1999(서거 50주년) | (4.9) 어머니 郭樂園 여사와 장남 金仁, 국립대전현충원 애국지사 제 2 묘역으로 이장.(4.12) 부인 崔遵禮 여사 효창원으로 합장.(6.26) '서거 50주년'. |
'시사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정거래위원회가 대학생 다단계 피해 주의보를 발령했다. (0) | 2013.02.25 |
---|---|
암의 치료를 직접 목적으로 하는... 반대 판례 (0) | 2013.02.15 |
대한민국 청년들의 슬픈초상 '대학5학년'[MBC 이코노미] (0) | 2012.11.21 |
노무현 vs 이명박 (0) | 2012.11.21 |
연도별 중산층 비중[2010] (0) | 2012.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