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규제조치의 일환으로 정부는 지속적으로 대출을 조이고 있지만, 정부정책을 비웃듯 가계빚의 증가속도가 가파르다.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의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5.2%다.
가계부채가 국내총생산 규모와 비슷한 것이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년 전과 비교하면 2.3%포인트 상승했다. 이런 상승폭은 BIS가 집계한 43개 주요국 가운데 중국(3.7%포인트), 홍콩(3.5%포인트)에 3위로 올라섰다.
정부정책이 발표되고 나서 2017년 9월말 이후로 가계부채 비율은 상승했다. 올해 초에도 가계부채 비율이 증가하며 조사한 국가 내에서는 상위권을 꾸준히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작년에 6·19 대책, 8·2 대책 등 담보인정비율(LTV)을 낮추고 대출심사를 깐깐 하게 하는 방안을 내놨다. 10월에는 2018년 신(新) 총부채상환비율(DTI) 도입,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조기 도입 등을 주 내용으로 하는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러한 정책에 대한 시장의 반응은 대출을 받아서 부동산에 투자하는 것이었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 3월말 기준으로 조사국 가운데 7위를 차지했다. 스위스(128.3%), 호주(122.2%), 덴마크(117.3%), 네덜란드(104.3%), 노르웨이(101.6%), 캐나다(99.4%)가 가계빚이 GDP대비 많은 국가들이다.
'가계부소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가입자 소득감소 - 건강보험료 조정 (0) | 2017.07.14 |
---|---|
주거실태조사 결과(2016년, 국토교통부), 주거안정화 필요 (0) | 2017.05.21 |
2016년 6월 주식 1조이상 보유 23명 (0) | 2016.07.01 |
가구당 부채 6200만원 육박 [2015년 가계금융 복지조사] (0) | 2015.12.24 |
음성통화 무제한 - 구글 프로젝트 파이 (0) | 201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