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적금'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8.01.28 은행 정기 적금 금리 계산법(2%, 3%...)

 

은행 정기 적금 이자율 계산법

 

한국이 유사이래 가장 낮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1.5%로 한차례 올린 바가 있고 올해는 두번 정도 인상을 시사한바도 있습니다. 그러나 가계 대출이 저렇게 경제의 숨통을 조이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를 조정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흔히들 금리상승기의 재테크를 말하고 있기는 하지만, 상승기든 하락기든 기가막힌 대처방법은 없습니다. 금리가 3%p이상 오르지 않는이상 그냥 하던대로 쭈욱 기존의 방식으로 운용하는 것이 누수를 막는 길입니다. 

 정기적금 금리에 대해서 말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간단히 정리해 보고 가겠습니다. 

 

http://5032.tistory.com/42

이때만 해도 금리가 볼 만은 했네요. 

 

이미지-벼룩시장

 

 일단 정기적금과 예금의 차이는 아시지요? 적금은 시기마다 넣는 것이고 정기적금은 기간을 정해서 입금하는 것입니다. 예금은 기간을 정해서 맡겨두고 만료될때 찾아오는 것입니다. 예금금리와 적금금리는 그래서 차이가 있습니다. 

 은행 간판에는 대부분 적금금리로 광고하는데 예금금리보다는 높습니다. 이유는 고객이 기간 만료후 찾아가는 이자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1년 정기적금 금리가 5%인 월불입 100만원 상품을 가입하고 나서 매달 한번도 빼놓지 않고 불입을 하면 고객들은 보통 1260만원을 받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받는 금액이 틀리지요. 

 5% 이자율이 너무 높다고 생각한다면 금리를 낮추지요. 1년 정기적금 금리가 2%인 상품에 매달 10만원씩 적금을 합니다. 1년 뒤, 즉 13개월 뒤에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얼마일까요?

 

 돈이 은행에 머무르는 동안만 이자를 계산하기에 첫달 불입액에 대해서는 2%를, 마지막 달에는 0.16%를 지급하게 되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2%인 정기적금은 월평균 금리는 1% 남짓이고 여기에 이자소득세를 공제하고 나면 실질적인 이자율은 0.92%가 됩니다. 아름답지 않나요??

 

 은행에 가셔서 정기적금 금리를 물어보고 본인의 실질 이자율을 계산하고 싶다면 외워서 적용해도 됩니다. '1년 정기적금 금리가 얼마 입니까?' 그리고 '추가 이자는 전기간에 다 붙게 되나요?'라고 물어봐야 합니다. 

 담당하시는 직원분이 '1년 정기적금 금리는 3%입니다.'라고 하는 순간 실제 수익률은 1.3%구나 하고 계산하시면 맞습니다. 

 

 

 

 

 

Posted by 프라이빗 뱅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