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삶은 점점 팍팍해져가고 있다. 일하는 시간은 늘어나고 여가시간은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거기에 주 5일 근무제가 정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피곤함을 느끼는 성인 인구가 늘었다는 것은 의미하는 바가 크다. 인생의 목표가 둥둥 떠다니다 못해 신기루 처럼 언제 사라질지 모른다는 것이다.
2014년 생활시간조사 결과를 통계청이 오늘 발표했다. 5년마다 조사해서 발표하는데, 2014년 자료는 연 3회(7월, 9월, 12월), 2009년 자료는 연 2회(3월, 9월) 조사했기에 계절적 특성으로 직접적인 결과를 비교하는 것은 주의해야 한다는 조건이 달려있다.
2014년은 12,000가구, 2009년은 8,100가구의 만 10세 이상 가구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을 정리한 결과이다.
<사진-kbs뉴스>
<2014년 생활시간조사 주요특징>
(10세이상) 우리나라 국민은 필수시간 11시간 14분(46.8%), 의무시간 7시간 57분(33.1%), 여가시간에 4시간 49분(20.1%)을 사용
☞자료-통계청 생활시간조사결과
<2014년 한국인의 하루 시간활용>
□ 필수시간
○ (수면) 전 국민의 평균 수면시간은 7시간 59분이며, 5년 전에 비해 9분 증가
- 잠자리에 드는 시각은 평일 밤 11시 24분, 토요일 밤 11시 29분, 일요일은 평일과 토요일보다 각각 9분, 14분 빠른 밤 11시 15분임
- 취침시각은 학교급이 올라 갈수록 늦게 자고, 기상시각은 고등학생이 가장 빨리 일어나고, 대학생이 가장 늦게 일어남
○ (식사) 전 국민의 평균 식사시간은 1시간 56분이며, 5년 전에 비해 11분 증가
- 평균 식사 시각은 평일에 아침 7시 43분, 점심 12시 32분, 저녁 7시 9분임
☞자료-통계청 생활시간조사결과
□ 의무시간
○ (일) 전 국민의 평균 일하는 시간은 3시간 16분이며, 남자는 4시간 8분, 여자는 2시간 26분으로 5년 전에 비해 1분 증가
- 성인(20세 이상)은 평일에 하루 평균 4시간 24분 일 하였으며, 일을 한 사람의 비율은 64.1%, 일한 사람의 평균 일한 시간은 6시간 52분임
☞자료-통계청 생활시간조사결과
○ (가사노동) 성인의 가사노동시간은 평일 2시간 4분, 토요일 2시간 21분, 일요일 2시간 24분임
- 가사노동시간은 남자가 47분, 여자가 3시간 28분이며, 5년 전에 비해 남자는 5분 증가, 여자는 9분 감소하였음
- 남자는 평일 39분, 토요일 1시간 1분, 일요일 1시간 13분을 사용하였고, 여자는 평일 3시간 25분, 토요일 3시간 37분, 일요일 3시간 33분을 사용하였음
○ (학습: 9월기준) 학생의 평균 학습시간은 6시간 17분으로, 주 5일 수업제 시행에 따라 5년 전에 비해 32분 감소
- 평일 학교 학습시간은 고등학생(8시간 21분), 중학생(6시간 1분), 초등학생(4시간 35분), 대학생(3시간 15분) 순으로 나타남
- 평일 학교외 학습시간은 중학생(2시간 40분), 초등학생(2시간 14분), 고등학생(1시간 52분), 대학생(1시간 49분) 순으로, 초등학생은 오후 4시에서 6시 사이, 중학교는 오후 5시에서 10시 사이, 고등학생은 오후 9시 이후에 학교 외 학습이 많음
☞자료-통계청 생활시간조사결과
○ (이동) 전 국민의 이동에 사용한 시간은 1시간 39분으로 5년 전에 비해 5분 감소
- 평일 취업자의 일관련 이동시간(1시간 23분)은 남자가 1시간 34분으로 여자(1시간 8분)보다 26분 더 많음
- 출근(등교)시점은 고등학생, 중학생, 취업자, 초등학생, 대학생 순임
- 취업자의 퇴근 시간대 비율은 오후 6시부터 7시 사이가 가장 높고, 학생의 하교 시간대는 초등학생은 오후 2시부터 4시 사이, 중학생은 오후 4시부터 5시 사이, 고등학생은 오후 9시에서 10시 사이가 가장 높음
<사진-kbs뉴스>
□ 여가시간
○ (교제 및 여가활동 총괄) 교제활동 43분(16.0%), 미디어 이용 2시간 21분 (52.6%), 종교․문화․스포츠, 44분(16.4%), 그 외 여가활동 41분 (15.3%)을 사용
○ (TV시청) TV 시청시간은 평균 1시간 55분이며, 평일 1시간 53분, 토요일 2시간 31분, 일요일 2시간 51분으로 평일은 여자가, 일요일은 남자가 더 많은 시간을 TV시청에 사용하였고, 저녁 8~10시 사이가 가장 높음
○ (독서) 하루 중 10분 이상 독서 인구 비율은 감소하였음
스마트폰의 일반화로 인해서 독서인구는 점점더 줄어들고 있다.
<사진-kbs뉴스>
'시사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경제에 미친 메르스(MERS)의 영향은? (0) | 2015.07.26 |
---|---|
2015년 주택연금 가입자 증가세. (0) | 2015.07.18 |
100세 인구 현황(2015)-100세 이상 제일 많이 사는 도시는? (0) | 2015.06.25 |
메르스 안심보험 - 안전 장치가 될 수 있나? (0) | 2015.06.18 |
데이터선택요금제-sk,kt,lg 무제한 경쟁 (0) | 2015.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