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조사전문기관 엠브레인트렌드모니터(trendmonitor.co.kr)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가계부 작성 및 물가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64.7%가 가계부 작성이 소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다. 가계부 작성이 도움이 되는 가장 큰 이유는 지출 내역 및 규모의 파악이 가능하다는 점(64%, 중복응답)이었다. 또한 소비 습관의 파악이 가능하고(51%), 불필요한 지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41.9%), 지출계획을 초과했는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는 점(34.2%)도 가계부 작성의 장점으로 꼽혔다. 반면 가계부 작성의 효율성에 의문을 나타낸 응답자들은 어차피 가계부를 써도 지출처가 증가한다고(60.9%, 중복응답) 응답하였다. 또한 매일 작성을 해야 하는 것이 번거롭고(45.9%), 소득자체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불필요하다는 평가(30.9%)도 많았다. 스스로가 계획적으로 지출하고 있어서 필요 없다는 응답자는 30.3%였다.

현재 가계부를 작성하고 있는 소비자는 전체 35.8%에 머물렀다. 상대적으로 남성(27.6%)보다는 여성(44%)이 가계부를 많이 작성하고 있었으며, 연령대별로는 30대(40.5%)의 작성 비율이 높았다. 과거에 작성을 하였으나 현재는 작성하지 않는 응답자(45.8%)가 절반에 가까웠으며, 전혀 작성해 본 경험이 없는 응답자는 18.4%였다.
가계부 작성 방식은 2009년 조사 이후 처음으로 전자가계부 작성 방식(50.6%)이 책이나 노트에 수기식으로 작성하는 방식(49.4%)을 다소나마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기용 가계부 작성은 2009년 63%, 2010년 52.5%, 2011년 50.3%에 이어 소폭 감소한 반면, 전자가계부 작성은 2009년 37%, 2010년 47.5%, 2011년 49.7%에 이어 올해는 그 비중이 절반을 넘어섰다.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편리한 작성이 가능한데다가,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가계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작성 주기는 매일매일 작성하는 사람이 34.6%, 지출할 때마다 작성하는 사람이 28.8%였다. 20대의 경우에는 지출할 때마다 작성하는 비율(41.8%)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가계부의 작성 기간은 1~2년(15.6%), 2~4년(15.6%), 6개월~1년(15.4%), 6개월 미만(15.1%) 순으로 대체로 작성한 지 4년 미만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10년 이상 오래 작성해온 비율은 가계부 작성자의 16.2%였으며, 특히 40대 이상(39.1%)이 장기간 작성해오고 있었다.
가계부 작성자와 미 작성자가 체감하는 물가상승 소비지출 항목은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부 작성자들은 주식비(39.4%, 중복응답)와 부식비(33.5%), 외식비(31.8%)를 물가가 가장 많이 상승한 소비지출 항목으로 꼽았다. 공과금(29.1%)과 유류비(27.4%), 의류비(22.1%)의 상승도 크다고 바라봤지만, 전체적으로 식비에 대한 물가상승의 체감 정도가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가계부 미 작성자들은 주식비(37.7%, 중복응답)에 이어 유류비(34.9%)와 공과금(32.9%)을 체감 물가 상승폭이 큰 항목이라고 생각하였다.
최근의 물가상승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지출에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항목은 주식비(35.9%, 중복응답)와 유류비(31%)였다. 주식비는 20대(43.5%), 유류비는 40대(39.5%)의 응답률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그 다음으로 공과금(27.6%)과 외식비(27.3%), 부식비(22.4%), 의류비(19%), 자녀교육비(18.2%)에 대한 소비자의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물가상승 때문에 실질적으로 지출이 가장 많이 감소한 항목은 의류비(42.3%, 중복응답)와 문화·여가 활동비(40.9%), 외식비(36.3%), 간식비(25.3%) 순이었다.
한편 설문에 참여한 패널(panel.co.kr) 중 38.5%가 최근 1년 이내 대출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출의 가장 큰 목적은 생활비 등 가계 자금 마련(70.4%, 중복응답)과 주택구입비용과 전세자금마련(56.9%)이 주를 이뤘으며, 그 다음으로 자동차구매(22.3%), 사업자금 마련(20.5%), 금융상품 투자(15.8%)를 위해 대출을 많이 하였다. 대출은 시중은행을 통해(58.7%, 중복응답) 가장 많이 한 가운데, 카드회사 현금서비스(13.5%), 수협/농협/축협(11.9%), 보험회사(10.4%), 캐피털 회사(9.4%) 순으로 대출 경험이 많았다. 대출 상품은 신용대출(39.2%, 중복응답), 주택담보대출(26.5%), 마이너스대출(22.6%), 예금담보대출(10.9%) 순이었다.
대출 금리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의 69.6%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제 1금융권의 대출이 불가능할 경우에는 대출을 포기하고 견디겠다는 응답(36.8%)이 제 2금융권 대출을 시도하겠다는 응답(31.4%)보다 다소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출 포기를 하겠다는 의견은 전년도(33.2%)에 비해 소폭 상승한 반면, 제 2금융권 대출을 하겠다는 응답자는 작년(33.9%)보다 감소한 결과이다.
기사 제보 및 보도자료 (뉴스웨이브) news@newswave.kr
'가계부소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5분만 가계부를 쓰자 (0) | 2013.04.01 |
---|---|
현금흐름에서 소비의 비중 크기. (0) | 2013.02.27 |
가계부 작성에서 부부간의 대화가 중요하다. (0) | 2013.02.06 |
심곡도서관 경제교실 (0) | 2011.10.11 |
우리집 경제를 살리는 가계부를 씁시다. (0) | 2011.10.03 |